카드 뉴스: 인종차별 대응 메뉴얼

뉴스에서 본 것 처럼 만약 내가 호주에서 인종 차별을 당하게 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인종차별 대응 메뉴얼” 로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보자.

How to deal with racism in Australia.

Source: SBS Korean program

How to deal with racism in Australia.
Source: SBS Korean
How to deal with racism in Australia.
Source: SBS Korean program
how to deal with racism in Australia.
Source: sbs Korean program
how to deal with racism in Australia.
Source: SBS Korean program
How to deal with racism in Australia.
Source: SBS Korean program
How to deal with racism in Australia.
Source: SBS Korean program
How to deal with racism in Australia.
Source: SBS Korean program
How to deal with racism in Australia.
Source: SBS Korean program
How to deal with racism in Australia.
Source: SBS Korean program
How to deal with racism in Australia.
Source: SBS Korean program
호주의 인종 차별법은 모든 호주인들이 인종, 피부색 등 어떤 배경을 지녔는지에 관계없이 평등하게 대우받고 같은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보장한다.  

하지만, 2017년 스캔론 재단의 사회 통합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자의 20%가 피부색이나 인종, 종교 등에 의해 지난 12개월 동안 차별 당한 경험이 있다” 고 답했다. 

만약 내가 직접 인종 차별적인 말을 듣거나 행동을 보게 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1) 차분히 응답할 것

반드시 공격적일 필요는 없다. 사실, 반대로 차분하게 대응하는 것이 주로 더 효과적이다. 말을 할 때는 그 사람을 극단적인 인종차별주의자로 바로 몰고가는 것 보다 문제가 되는 말과 행동을 지적하는 것이 상황 해결에 더욱 도움이 된다. 

예시: 

“방금 하신 말은 아주 공격적이고 무례하네요.”“What you just said is really offensive and rude.

“자신을 위해서도, 다른 사람을 위해서도 좀 존중해 주세요” “Please, have some respect for yourself and for others.”

2) 무시하고 자리를 피함  

  • 말로 도발해 상대방의 행동을 부추기는 상황
  • 상대방이 술이나 마약에 취해 있는 상황
  • 지나치게 폭력성을 띄고 있어 대화가 불가능한 상태
이럴 경우에는 자리를 피하는 것이 상황을 종결 짓는 방법이 될 수도 있다. 어떤 상황에서도 스스로의 안전을 위험에 빠뜨려서는 안된다. 

3) 관련 당국에 신고할 것 

  • 경찰: 만약 언제든 위협을 받고 있는 기분이 들거나 안전하지 않다면 000로 경찰에 신고한다.  
  • 대중교통: 버스 운전자나, 기차 역 직원 등에게 상황을 알린다. 
  • 온라인: 대부분의 소셜 미디어 웹사이트들은 공격적인 댓글이나 포스트에 대해 어떻게 대응하는지 자체 방침을 갖추고 있다. 관리자에게 바로 신고한다. 
  • 학교: 교내에서 인종차별을 받았다면 즉각, 교사와, 카운셀러, 학생복지 담당관에게 이야기를 한다. 또한 부모에게도 알려, 학교 내에서 문제가 해결되고 있는지를 지켜본다. 
4)  호주인권위원회에 인종 차별 불만 접수

  • 기밀이 유지되는 무료 서비스
  • 필요할 경우 한국어 통역관을 요청 가능 
  • 한글로 불만 신청서 기입 가능 
만약 다른 누군가가 인종차별을 받고 있는 것을 목격하게 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1) 목소리를 낼 것

주변 사람들이 아무 말도 하지 않을 경우 공격을 가하는 사람은 더 힘을 받게 된다. 그런 만큼 다른 사람들은 그런 행동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은 극단적인 상황으로 가는 것을 막아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말과 행동에 대한 지적이 한 사람을 인종차별주의자로 몰아가는 것 보다 효과적이다. 

예시: 

“괜찮은 말이 아니에요.”  “That’s not ok”

 “그 사람을 그냥 놔 두세요” “Leave him/her alone.”

“인종차별적인 말이에요.” “That’s really racist.

“그게 왜 그렇게 웃기죠?” “Why is that funny?”

2) 지지의사를 보여 줄 것

  •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것 같으면 000로 경찰에 바로 신고한다. 
  • 안전을 담당하고 있는 사람 예를 들면, 버스 운전사나 클럽 보안 요원 등에게 알린다. 
  • 인종 차별 받는 사람의 곁에 가서 앉거나, 옆에 서서 괜찮은지 물어본다. 

Share
Published 1 June 2020 10:20am
By Leah Na
Source: Australian Human Rights Commission


Share this with family and friends


Follow SBS Korean

Download our apps
SBS Audio
SBS On Demand

Listen to our podcasts
Independent news and stories connecting you to life in Australia and Korean-speaking Australians.
Ease into the English language and Australian culture. We make learning English convenient, fun and practical.
Get the latest with our exclusive in-language podcasts on your favourite podcast apps.

Watch on SBS
Korean News

Korean News

Watch it onDem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