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6일 근무제 도입한 그리스… “성장 지향적” Vs “노동자 권리에 대한 공격”

주 6일 근무제에 대해 그리스 정부는 “성장 지향적이고 노동자 친화적인 정책”이라는 입장이지만 노동계는 “노동자 권리에 대한 공격”이라고 성토하고 있다.

A crowd of people walks through Athens and talk on their phones.

The Greek government says the six-day week in some sectors will encourage growth and is good for workers. Source: AAP / Nikolas Kokovlis/NurPhoto

Key Points
  • 그리스, 주당 근로 시간 40시간에서 48시간으로 연장 ‘고용주가 선택’
  • 그리스 정부 “성장 지향적이고 노동자 친화적인 정책”
  • 노동계 “노동자 권리에 대한 공격
주당 근로 시간을 40시간에서 48시간으로 연장할지 여부를 고용주가 선택하도록 하는 법안이 그리스 의회를 통과했다.

전 세계적으로 주 4일 제 근무가 논의되는 상황에 주 6일 제를 시행하는 것으로 노조는 “노동자 권리에 대한 공격”이라고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법안에 따르면 특정 산업 분야에서 기업은 직원에게 하루에 2시간 추가 근무 혹은 8시간 하루 추가 근무를 요청할 수 있도록 했다. 직원들은 초과 근무 시 40%의 초과 근무 수당을, 일요일에 근무할 시에는 115%의 초과 근무 수당을 더 받게 된다.

그리스 노동사회보장부 대변인은 BBC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조치는 의무사항이 아닌 선택사항이라고 말했다.

대변인은 "법에 의해 의무화된 확립된 주 5일 근무제에 어떤 식으로든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며 “긴급한 운영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새로운 법안은 제조업을 포함한 일부 업계에 적용되며 관광 및 식음료 서비스업은 대상에서 제외됐다.
People walk through a terrace cafe where a waitress carries a tray.
The six-day week won't apply to food service and tourism, which already have provisions for extended hours. Source: NurPhoto / Getty Images/AAP

“성장 지향적이고 노동자 친화적인 정책”

이번에 발표된 주 6일 근무제는 중도 우파 성향의 키리아코스 미토타키스 총리가 내놓은 노동 개혁안 중 하나로, 그리스 정부는 숙련 기술자 부족 문제와 인구 감소 위협에 맞설 수 있는 방안이라고 주장했다.

그리스는 유럽연합 가운데 가장 높은 이민율을 자랑하는 국가로 알려져 있다. 2007년에서 2009년 사이 글로벌 불황을 겪으며 그리스 경제 역시 파행을 겪었으며 국가 부채 위기와 25% 이상의 실업률로 어려움을 겪으며 50만 명이 넘는 국민들이 그리스를 떠나기도 했다.

키리아코스 미토타키스 총리는 주 6일 제는 “성장 지향적”이고 “노동자 친화적”이라며 이 법안을 통해서 무습 초과 근무와 같은 문제 해결에 오히려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법안 통과 전 미토타키스 총리는 “그리스를 유럽 나머지 지역과 동일선상에 두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자료에 따르면 그리스인들은 유럽에서 가장 오랫동안 일을 하지만 가장 낮은 임금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스 정부는 월 최저임금을 830유로(1,335달러)로 인상했고, 2027년 말까지 950유로(1,528달러)로 인상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미토타키스 총리는 이 기간 동안 평균 임금을 1,500유로(2,413달러)로 25% 이상 인상하겠다고 약속했다.
A man shouts into a megaphone at a protest.
The introduction of a labour reform package in September 2023 met fierce opposition in Greece. Credit: Milos Bicanski/Getty Images

노동계의 반발

하지만 노조는 이번 법안이 노동자의 기본권을 해체하고 “야만적인” 조건을 도입하는 법안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법안이 의회에 상정되기 전 아테네에는 수 천 명의 시위대가 거리로 나서기도 했다.

노동계는 특히 하루 최대 근로 시간을 13시간까지 늘린 점과 고용주가 경고나 보상 없이 근로자를 1년간 해고할 수 있도록 한 점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또한 파업 기간 동안 직원들이 일을 할 수 없도록 하는 사람에게 벌금과 징역 6개월 형을 내릴 수 있도록 한 점도 독소조항으로 보고 있다.

그리스 공산당(KKE)은 이번 법안이 “괴물같이 끔찍(monstrous)” 하다고 표현했고 좌익 성향의 시리안인들은 정부가 근로자를 겨냥한 “비밀 의제”를 갖고 있다고 성토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유럽 다른 나라들은 주 4일 근무제를 속속 도입하고 있다.

벨기에는 2022년 유럽에서 처음으로 동일한 근로 시간을 더 압축해서 일하는 주 4일제를 법제화했으며, 아이슬란드는 2021년 동일한 임금을 받고 더 적은 시간 일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한 시험 작업을 펼쳤다. 시험은 매우 성공적이었고 85% 이상의 인력이 더 짧은 근로 시간을 협상한 바 있다. 영국과 스웨덴에서도 비슷한 시험이 진행 중이다.

세계경제포럼은 주 4일 근무제의 혜택으로 더 행복한 근로자들, 통근 감소로 인한 오염 감소, 생산성 향상 등을 꼽았다.

Share
Published 8 July 2024 11:21am
By Ruth McHugh-Dillon
Presented by Justin Sungil Park
Source: SBS


Share this with family and friends


Follow SBS Korean

Download our apps
SBS Audio
SBS On Demand

Listen to our podcasts
Independent news and stories connecting you to life in Australia and Korean-speaking Australians.
Ease into the English language and Australian culture. We make learning English convenient, fun and practical.
Get the latest with our exclusive in-language podcasts on your favourite podcast apps.

Watch on SBS
Korean News

Korean News

Watch it onDem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