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정부, 최대 탄소배출시설 7년간 배출량 30% 감축 추진

Australia's pollution

연방정부, 최대 탄소배출시설 7년간 배출량 30% 감축 추진 Source: AAP

연방정부가 호주의 최대 탄소 다배출 시설들이 향후 7년 동안 탄소 배출량을 최소 30% 감축하도록 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Key Points
  • 215개 최대 탄소배출 시설…호주 총 탄소 배출량의 3분의 1배출
  • 연방정부, 215개 최대 탄소배출 시설 2030년까지 배출량 매년 4.9% 감축 추진
  • 탄소배출 허용기준치…배출집약도(emissions intensity)를 척도로
연방정부가 7월부터 호주의 최대 탄소배출 시설들에 엄격한 탄소 배출 한도를 적용, 향후 7년 동안 탄소 배출량을 최소 30% 감축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하지만 알루미늄과 액화 천연 가스와 같은 무역 노출 산업(trade-exposed industries)에는 유예기간이 주어진다.

연방정부는 19억 달러 규모의 '지방발전기금(Powering the Regions Fund)'에서 6억 달러를 우선 이들 무역 노출 산업 공장에 제공, 탄소배출 감축 비용을 지원할 계획이다.

호주의 오일, 가스, 광산 및 제조 시설 약 215개의 최대 탄소배출 시설들은 탄소 배출 한도가 엄격히 적용되는 ‘세이프가드 메커니즘(safeguard mechanism)’이 적용되고 있다.

크리스 보웬 기후변화 및 에너지 장관은 ‘세이프가드 메커니즘’ 개혁 계획을 발표하면서 “세이프가드에 대한 개혁이 효과적이고, 공정하며, 효율적인 넷 제로의 이행을 도울 것”이라고 기대했다.

215개의 최대 탄소 다배출 시설들의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은 이산화탄소 환산량(CO2-e) 10만 톤 이상에 달한다.

이들 시설들의 합산 배출량은 호주 탄소 배출량의 28%를 차지한다.

2023년 6월까지 1년 동안 합산 탄소 배출량은 이산화탄소 환산량 1억4천300만 톤으로 예측됐으며, 정부는 2030년까지 1억 톤이 넘지 않도록 할 계획이다.

연방정부는 6개월 간의 협의 끝에 탄소배출 허용기준치(baseline)를 실제 배출량이 아닌 배출집약도(emissions intensity)를 척도로 정한다는 원칙을 고수하기로 했다.

이는 곧 한 시설의 생산량 증가와 감소에 따라 그 시설의 배출 허용치도 높아지거나 낮아질 수 있다는 의미다.

배출 허용기준치는 처음엔 시설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지만 2030년까지 허용치는 매년 4.9%가 낮아진다.

이후 ‘세이프가드 메커니즘’이 적용되는 시설들은 결국엔 업계 평균 기준으로 동일한 허용치가 적용될 예정이다.

Share
Follow SBS Korean

Download our apps
SBS Audio
SBS On Demand

Listen to our podcasts
Independent news and stories connecting you to life in Australia and Korean-speaking Australians.
Ease into the English language and Australian culture. We make learning English convenient, fun and practical.
Get the latest with our exclusive in-language podcasts on your favourite podcast apps.

Watch on SBS
Korean News

Korean News

Watch it onDemand